트랜스페미니즘 선언문: 망상

“우리가 페미니즘의 안팎에서 거부당한 경험을 공유한다고 해도 우리의 최대 동맹으로 남아 있는 이들은 페미니스트, 레즈비언, 그리고 다른 퀴어다.”

의역한 표현입니다. Emi Koyama가 쓴 “The Transfeminist Manifesto”의 한 구절이죠.
선언문답게 쉽게 쓴 글입니다만.. 어차피 영어라는.. -_-;; 나중에 번역할까봐요.
읽으면서 저도 이런 글을 한 번 쓰고 싶다는 바람을 품었습니다. 그래서 번역하고 싶었습니다. 번역하면서 별로인 구절은 뜯어 고치고 좋은 구절은 더 좋게 다듬고 제 고민을 보태고 의역하면서 저자와 옮긴이가 구분되지 않는 그런 글을 만들고 싶달까요.. 사실 새로운 글을 기획하는 것이 귀찮아서 이런 상상을 했지만요. 크. ;;;;;;;;;;;;;;;;;;
트랜스페미니즘, 혹은 트랜스젠더 페미니즘 관련 글을 꾸준히 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접점을 좀 더 정교하게 모색하려는 시도였지 선언문은 아닙니다. 선언문이라면, 선언문이란 형식과 내용이 있죠. 그것은 쉬워야 하고 또 주장이 선명해야 하죠. 그런 글을 쓰고 싶고요. 방학 때 하면 되지 않느냐 싶지만.. 이미 계획한 일도 많아..;;;;;; 계획하면 쓸 수 없습니다. 그냥 어느 순간 “삘”을 받아야죠.
그러고 보면 트랜스젠더 이슈 관련해서 처음 쓴 글이 “트랜스젠더 선언문 1/2″입니다. 읽는 사람 몇 없는 그런 글이지만요. 크. ;;; 그 시기의 치기와 고민이 담겨 있겠지요(저도 더 이상 기억이 안 나니까요;;). 제겐 중요한 글이지만 공개할 수 없는 그런 글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다시 한 번 선언문을 쓰고 싶은가 봅니다. 다른 한편으론, 트랜스젠더 이론/실천과 페미니즘의 접점을 계속해서 설명하는 것이 귀찮아서;; 글로 정리하고 싶기도 합니다. 그러니 지금까지 쓴 글을 정리하는 수준일 수도 있겠지요. 아무래도 좋습니다. 제 판단에 지금 이 시점에서 “트랜스페미니즘 선언문”이 필요하단 것이죠. 무엇보다도 페미니즘 논의가 좀 더 확장되길 바랍니다.

사고쳤는데 성공? + 트랜스페미니즘 모색

01
며칠 전 2010년 결산 글을 쓰면서, 여이연 홈피를 링크(http://goo.gl/VQv4g)했다. 글이 실린 이번 호 소개글 겸 머리말이 있어서였다. 특집 주제는 이곳에 오는 분도 관심이 많을 듯해서 뻔뻔하게 링크했지만, 내용은 나중에 확인했다. 글을 읽고 재밌더라. “이러한 의도를 가장 직접적으로 담고 있는 글”로 나의 글을 소개했기 때문이다.
지난 7월 말 즈음 원고청탁을 받았다. 그때 기획의도는 대충 1990년대 이후 성정치 맥락에서, 앞으로는 어떤 이슈를 어떤 문제의식으로 고민하면 좋을지를 나누는 지면을 마련한다고 했다. 답장에도 적었지만, 정확하게 내가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더라. 아울러 기획의도가 정확하게 와닿지 않았다. 무엇을 하려는 걸까? 뭔가 알 것 같긴 한데, 정확하게 잡히지 않는 상태였다.
내가 둔한 탓도 있거니와, 기획의도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탓하는 건 아니다. 이건 지극히 자연스럽다. 많은 경우, 기획의도는 시작할 때가 아니라 끝날 즈음 명확해진다. 처음부터 기획의도를 매우 명징하게 설명하긴 쉽지 않다. 그래서 나는 내가 무슨 글을 쓰면 좋을까요,라고 다시 물었고 답을 들었다. 꽤나 명확한 내용이라 그 요청대로 글을 구상하다, 막판에 글의 방향을 틀었다. 하하. 지난 글(https://www.runtoruin.com/1738) ㄴ에도 적었듯, 지금 시점에서 해야 할 이야기가 무엇인지 깨달았달까. 그래서 글을 쓰며 많이 걱정했다. ‘괜찮을까? 나 혼자 엉뚱한 글을 쓰는 것은 아닐까?’ 걱정을 많이 했는데, 나의 글을 소개한 구절을 읽으니 당황하지 않을 수 없다. 사고쳤는데 그게 성공한 격이랄까? 크크. 암튼 여/성이론 측에 누를 끼치지 않은 것만도 다행이다.
02
여/성이론에 실은 글은 트랜스페미니즘을 모색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이런저런 얘기를 하는데, 아직 미흡하지만 나의 언어로 풀어내고 있어서, 나 혼자 좋았던 부분이 있다. 물론 내가 읽지 않은 어느 누군가가 이미 다 했던 말이겠지만. ㅠㅠ
지배규범은 소위 규범적이라고 믿는 이들의 행동을 설명하지 않는다. 비규범적이라고 여기는 이들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그래서 지배규범을 실천하는 이는 규범적이라고 믿는 이들이 아니라 비규범적이라고 불리는 이들이다. … 뭐 이런 얘기를 하고 있다. 미디어에서 떠드는 남성성 규범과 소위 아저씨라고 불리는 이들이 실천하는 남성성 규범의 간극을 떠올리면 어렵지 않은 얘기다. 아울러 젠더가 정말 문화적 구성과정이라면, 트랜스젠더 이론과 페미니즘 이론이 젠더 정치로서 어떻게 접점을 모색할 수 있는지를 살피고 있다. 무려 실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ㅠㅠ
나의 입장에선 뻔한 얘긴데 다른 사람은 어떻게 읽을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