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슬러와 맥켄나의 『젠더』: 1970년대 젠더 이론을 추적하기

Kessler, Suzanne J. and Wendy McKenna. Gender: An Ethnomethodological Approach.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관련 글
『젠더』: 상대방의 젠더를 판단하는 여러 기준들
두 영혼의 사람들(버다치), 젠더를 이해하는 다른 방식

원래 계획이라면 지난 달에 다 읽었어야 했다. 중간에 여러 일이 있었지만, 이런 이유는 모두 핑계다. 정말 열심히 읽었다면 열흘이나 늦을 리가 없으니, 그냥 게을러서 늦었다.

책 한 권을 읽고 세 편 정도의 관련 글을 쓴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책’은 아닐 테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나서 하고 싶은 말이 생기고 쓰고 싶은 글이 생긴다면 ‘좋은 책’이지 않을까? 즉, 어떤 형태로건 독자의 몸을 움직이게 한다는 점에서 ‘좋은 책’인 건 분명하다. 다 읽었는데도 할 말이 없고 몸도 움직이지 않는다면 시간 낭비에 가까우니까. 그렇다면 케슬러와 맥켄나의 책은 어떨까? 세 가지로 구분해서 얘기할 수 있을 거 같다.

페미니즘이건 트랜스젠더이론이건 퀴어이론이건 뭐건 간에, 내게 1970년대는 초기에 해당한다. 이론과 논의가 지금과 같은 형태로 번창했다기 보다는 싹이 트기 시작하는 시기랄까. 좀 더 구체적으로 쓰면, 1950년대 중반 ‘젠더역할’이란 용어를 의학에서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며 ‘섹스역할’과 구분하기 시작했고, 1960년대 즈음 트랜스젠더 개인(Virginia Charles Prince)과 의학에서 섹스와 젠더를 구분하기 시작했다. 섹스와 젠더 구분을 1960~1970년대 페미니즘에서 적극 받아들였고, 젠더는 페미니즘 논의의 중심이 된다. (논의하는 사람에 따라 1930년대의 마가렛 미드를 섹스-젠더 구분의 시발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나는 1970년대까지의 섹스-젠더 구분 논의는 상당히 단순했다고 이해했다. 앤 오클리(Ann Oakley) 식으로, 섹스는 용기처럼 변하지 않지만 젠더는 용기에 담는 내용물처럼 변할 수 있다는 정도랄까? 혹은 성전환수술의 토대를 닦은 존 머니(John Money)나 로버트 스톨러(Robert Stoller)처럼 섹스가 변할 순 있지만, 지정한 젠더를 강화하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정도? 어느 쪽이건 상관없다. 1970년대까지는 섹스-젠더를 분명하게 구분할 뿐만 아니라 ‘여성’과 ’남성’이란 이분법을 당연하게 여기는 시기란 인상이 강했다. 이것이 1980년대로 넘어가면서 변한다는 게 내 앎의 전부였다. 그래서일까? 1979년에 처음 나온 케슬러와 맥켄나의 책을 읽는 내내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자들은 시종일관 이분법을 당연하게 가정하는 이론들을 꼼꼼하게 비판하며 이분법을 가정하지 않는 이론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이 책은 내가 알고 있던 1970년대 미국 젠더 논의의 지평을 넓혀줬다. 그래서 난 이 책을 읽는 내내 흥분했고, 마지막 결론을 기대했다.

한편, 이 책은 당시의 범주인 트랜스섹슈얼을 상당히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내가 이 책을 읽기로 결정한 이유기도 하다. 트랜스섹슈얼을 다루지 않는 젠더 이론이었다면 나중에 읽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젠더 이론을 다루는 동시에 트랜스섹슈얼의 경험도 다루고 있어 예정보다 일찍 읽었다. 다루는 정도도 한 챕터가 아니라 책 전반에 걸쳐 언급하고, 한 챕터에선 집중해서 분석한다. 그리고 트랜스섹슈얼을 다루는 장면에서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 케슬러와 맥켄나는 두 영혼의 사람(버다치)은 젠더 이분법을 위반하거나 이분법에 부합하지 않지만 트랜스섹슈얼은 이분법을 강화한다고 비판한다. 성전환수술은 트랜스섹슈얼들이 이분법을 내면화하고 강화하는 실천의 하나란 것이 저자들의 주장 중 하나다. 이런 큰 주장때문에, 수술을 바라지 않고, 자신을 ‘여성’이나 ’남성’이 아니라 트랜스섹슈얼로 설명하는 이들의 경험은 잠깐 언급하고 넘어간다. 다른 부분에선 매우 영민한 저자들이 트랜스섹슈얼을 분석할 땐 왜 이렇게 막힌 걸까 싶어 안타까웠다. 이분법을 강화하느냐 하지 않느냐란 논쟁은 소모적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이분법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마지막 챕터를 읽기 전 나는 무척 기대했다. 제목도 “Toward a Theory of Gender”(젠더 이론을 향하여)로, 이분법의 한계에 갖히지 않는 새로운 젠더 이론을 제시할 거란 기대를 부풀게 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하지만 … 기대는 금물. 간단하게 요약하면, 젠더를 ‘여성’과 ‘남성’으로 구분해서 접근하면 차이는 당연할 수밖에 없기에 이런 구분 자체를 질문하고 이분법을 몸에 익히는 과정 자체를 질문하는 이론을 만들어야 한다,  끝. ㅡ_ㅡ;; 1970년대 후반엔 상당히 새롭웠겠지만, 그리고 지금의 어떤 사람들에겐 이 정도의 논의만으로도 신선할 거 같다(젠더는 양성평등이라고 말하는 이들이 상당하니까). 하지만 나 혹은 내가 알고 있는 어떤 사람들에겐 무척 진부할 따름이다. 아니, 내용이 진부한 게 아니라 나의 기대가 너무 컸는지도 모른다. 난 케슬러와 맥켄나가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읽고 싶었지, 문제제기를 읽고 싶었던 게 아니었으니까. 그래서 “논문 한 편으로 써도 충분할 주장을 도대체 왜 책 한 권 분량으로 쓴 거냐고!!”라고 구시렁거렸다. 흐흐.

이 책을 읽던 초기엔 이 책이 무척 흥미진진했다. 다 읽고 나니 어쩐지 허탈하다. ;;; 그렇지만, 한 가지 분명한 건 1970년대 젠더 논의를 이해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책이란 점이다. 아울러 버틀러와 같은 이의 주장이 뜬금없이 등장한 것이 아니라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활발하게 진행한 이론적 논쟁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즐거웠다. 젠더 이론을 다루는 수업이라면 이 책을 읽어도 괜찮을 듯 하다.

버지니아 울프, [올란도]

모로코였던가. 카사블랑카와 함께 떠올리면 되니, 맞는 것 같기도 하나. 1970년대 즈음의 미국 트랜스젠더들은 성전환 수술을 하기 위해 모로코로 갔다고 한다. 1950년대와 60년대엔 덴마크로 갔다고 했다. 그래서 그 시절의 “Go to Denmark”(덴마크에 가다)는 성전환수술을 하러 간다는 의미였다. 하지만 덴마크의 법이, 외국인은 덴마크에서 성전환수술을 할 수 없다는 내용으로 바뀌면서, 모로코로 가서 수술을 했다고 한다. 그때 그들은 며칠 정도 입원했을까.

하지만 굳이 미국의 트랜스젠더/트랜스섹슈얼들의 이야기를 꺼내지 않아도 상관없다. 지금의 한국에 살고 있는 트랜스들은 태국에 가서 수술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니까. 태국영화, [샴]엔 한국의 의학기술이 상당해서 태국에선 고칠 수 없는 병은 한국에 가면 고칠 수 있을 것처럼 얘기하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정작 한국의 재벌들이나, 돈이나 권력이 있는 이들은 미국으로 가던가.) 영화 초반의 공간이 한국이니 이런 식으로 말했을 지도 모르지만(다른 한 편, 한국에 있을 땐 “귀신”이 안 나왔으니까), 적어도 성전환수술에 있어서만은 태국의 기술이 더 뛰어나다는 평가가 중론이다. 한국에서 성전환수술의 “권위자”(혹은 자처하기를 “트랜스젠더들의 아버지”)들이 아무리 수술을 잘 한다고 광고를 해도, 현재로선 태국의 몇몇 병원들이 더 잘 한다고 얘기한다. 그리고 대충 일주일 정도 입원을 한다고 했다.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올란도]를 읽으면서 엄청난 작품이라고 느꼈다. 아는 사람은 대충 내용을 알겠지만, 대략 400년이란 시간을 36살이란 나이로 살아가며,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change of sex”)을 경험한 올란도란 사람의 전기소설이다. 근데 이 소설에서 성을 전환하는 장면이 재밌다. 러시아 공주에게 퇴짜 맞고 앓다가, 올란도는 콘스탄티노플의 대사로 간다. 그곳에서 여러 날 일을 하다가, 어느 날 일주일간의 깊은 잠에 빠지고 그 사이에 “여성”으로 바뀐다. 이 장면, 올란도가 살았던 영국이 아니라 콘스탄티노플에서, 그것도 일주일간의 잠에서 깨어나자 성이 바뀌어 있는 장면에서, 지금 한국에서 살아가는 트랜스들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었다. 우연이지만, 단지 우연의 일치지만(일주일간의 입원과 일주일간의 잠이라니!), 이 장면에서 만큼은 이 소설을 트랜스젠더 소설로 읽고 싶었다.

물론 울프가 이 소설이 나왔을 즈음, 화제였던 성전환에 대해 몰랐을 리 없다고 상상한다. 울프부부가 세운 출판사에서 프로이트의 책들이 번역되었고, 프로이트와 만난 적도 있다고 하니, 그 심증은 굳어진다. 물론 울프는 전혀 몰랐을 수도 있지만, 성전환수술이 가능하고, 실제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기사로 떠들썩했던 시대에 울프가 산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상상하기도 했다, 어쩌면 울프는 이런 성전환수술과 관련한 정보를 들었던 건 아닐까 하고, 이런 정보가 이 소설을 구성하는데 어떤 영향을 끼친 건 아닐까 하고.

울프가 쓴 작품의 맥락에서 [올란도]를 통해 말하려한 내용은 “양성성”이지만 때로 작품의 맥락을 무시하는 상상은 재밌으니까. “여성”으로 변한 올란도가 “남장”을 하고 다니는 장면도 자주 나오고, 결혼한 파트너 쉘과는, 서로의 성별을 바꿔 부르기도 한다(쉘은 올란도에게 “남성”이라고, 올란도는 쉘에게 “여성”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더구나 소설의 마지막 즈음에 이르면 2,000개 정도의 자아들을 하나로 환원하지 않으면서 불러들이는 멋진 장면도 있고.

이 소설을 처음 읽은 게 2000년인가 2001년 즈음이니, 정말 오래 되었다. 그때는 미처 깨닫지 못한 내용들이, 너무도 짜릿하고 흥미로운 내용들이 너무 많아서 읽는 내내 즐거웠다. 소문만큼 그렇게 어려운 작가도 아니고, [올란도]는 그 중에서도 무척 수월하게 읽을 수 있으니, 퀴어와 관련해서 관심 있는 분이라면(이미 레즈비언 소설로도 많이 알려져 있기도 하고) 더더욱, 한 번 정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논문] Susan Stryker “My Words To Victor Frankenstein …”

Susan Stryker “My Words To Victor Frankenstein Above The Village Of Chamounix: Performing Transgender Rage” GLQ, vol.1 (1994)

메리 셸리를 읽고 나서, 스트라이커의 논문 제목을 읽으려 했을 때, 이전엔 무슨 의미인지 몰랐던 제목의 의미를 금방 짐작할 수 있었다. 샤뮤니(Chamounix)는 괴물과 빅터가 만나, 빅터를 떠난 괴물이 그 후 어떻게 지냈는지, 그리고 빅터에게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얘기하는 곳이다. 그러니 제목 “샤무니 마을에서 빅터 프랑켄슈타인에게 하는 나의 말들”은, 괴물이 빅터에게 하는 말이자, 스트라이커가 하는 말이기도 하다. 스트라이커는 괴물과 거의 동일시하고 있으며, 이 논문은 바로 이런 감정에서 출발한다.

이 논문이, 처음으로 읽은 스트라이커의 논문은 아니다. 그간 몇 편의 논문들을 읽었지만, 그 중 몇 편은 읽기 쉬운 편은 아니었다. 짧은 몇 편의 글은 읽기 쉬웠지만, 어떤 글들은 수월한 영어는 아니라고 느꼈다. 하지만 이 논문 “My Words”는 정말이지 읽는 내내 감동 받을 수밖에 없는 그런 글이다. 여러 많은 문장들이 감동의 도가니지만, 단 한 마디면 충분할 것 같다. 비록 그 한 마디가 이 글을 요약하진 않지만.

할 수 있는 한 무례하게 나는 말한다: 나는 트랜스섹슈얼이다, 고로 나는 괴물이다.(240)

아무려나, 트랜스 관련 글을 읽고자 한다면, 셸리의 [프랑켄슈타인]과 함께 이 글을 꼭 읽으라고 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