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아카이브 퀴어락 반상근, 노트북, 트랜스젠더 아카이브

8월부터 퀴어락에서 주 1회 근무하기로 했다. 농담처럼 박사학위를 끝내면 퀴어락에 취직하겠다고 말하곤 했고, 퀴어락의 업무는 내게 일종의 로망이다. 물론 로망은 노망이고 현실은 다르지. 그럼에도 내가 가장 애정을 갖는 일이다. 그리고 8월부터 주 1회 근무다.
그리고 ‘원활한’ 업무를 위해 퀴어락에 두고 쓸 개인 노트북을 알아보고 있다. 퀴어락 전용 데스크톱이 있는데 나 말고도 주 1회 근무를 하는 사람이 더 있기도 하고 나로선 나만 쓰고 또 보안 문제에 있어 내가 안심하고 쓸 수 있는 노트북이 있는게 편하니까. (공용컴퓨터에서 사용할 메일 계정이 따로 있는 1인)
처음엔 크롬북으로 확정했는데, 그냥 가벼운 마음으로 티몬을 둘러보다가 두 개의 노트북에 흔들렸다. 28만 원 가량의 15인치 노트북과 32만원 가량의 15인치 노트북. 둘 다 OS는 구매자가 직접 깔아야 하는데 이것은 전혀 문제가 안 된다. 업그레이할 때의 추가 비용 등을 고민한 다음 32만 원 가량의 노트북을 찜하며 흐뭇한 표정을 지었다. 우후후. 구매는 당장하지 않을 것이라 흐뭇한 마음만 품었는데, 집에서 크롬북이 아닌 노트북으로 작업하다가 확실하게 깨달았다. 크롬북 환경에 완전 적응했다는 사실을. 나도 모르게 크롬북의 인터페이스로 작업하려는 내 모습을 깨달으며, 아, 역시 크롬북으로 사야겠다고 중얼거렸다. 크롬북이 아닌 일반 노트북을 살폈던 건 아마존에서 바로 배송이 안 되기 때문에 배송대행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이게 은근 신경 쓰이고 번거로워서였는데, 어차피 퀴어락에 추가의 데스크톱이 있다면, 웹작업이 대부분이라면 크롬북이어도 충분하겠다.
근데 여기서 가장 큰 함정은 내 통장의 잔고로는 당장 노트북을 살 수 없다는 것. 후후후. 그냥 노트북 새로 하나 사야지라는 망상에 빠져있다. 후후후.
아무려나 이렇게 퀴어아카이브 퀴어락에 조금 더 개입하면서, 나는 1~2년 정도 더 작업을 한 다음 내 연구소, 혹은 나의 집을 트랜스젠더 아카이브로 명명할까,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퀴어아카이브가 필요하다면 바로 그 만큼 트랜스젠더 아카이브도 필요하다. 최근 기말페이퍼로 퀴어아카이브 관련 글을 썼는데, 그러면서 트랜스젠더 아카이브를 만들고 싶다는 바람이 더 커졌다. 트랜스젠더 아카이브를 만들겠다고 따로 작업을 하고 있는데 1~2년 정도면 아카이브 꼴은 갖추겠다 싶다. 어디 내세울 수준은 아니겠지만. 물론 시간이 더 걸릴 수는 있다. 그럼에도 말할 수 있다면, 트랜스젠더 아카이브를 준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퀴어라는 포괄어와 트랜스젠더라는 포괄어는 매우 많이 겹치고 또 엇나가는데, 나는 언제나 퀴어와 트랜스젠더가 함께 가야 한다고 믿지만 그럼에도 트랜스젠더를 더 강하게 끌고 가길 원한다. 즉, 나는 트랜스젠더를 중심으로 퀴어를 재편하길 원한다. 두 포괄어의 겹치지 않는 어떤 영역이 있다면 바로 그 영역으로 퀴어와 트랜스젠더를 재해석하길 원한다. 물론 지금은 소박한 꿈에 불과하지만.

한국 트랜스젠더 자서전, 목록

얼추 한 달 전에 한국 트랜스젠더 자서전과 관련한 글을 썼습니다. 그때 조만간에 공개하겠다고 했는데, 이런 저런 이유로 이제야 공개합니다. 아래는 퀴어락의 “주목! 이 자료”에 실린 글 전문입니다.절판된 책이 많으니 내용이 궁금하면 퀴어락에서 읽어주세요. 🙂
아울러 사진이 흐릿하거나 흔들린 듯 하다면, 다 의도입니다. 모든 것이 의도입니다. 일부러 자세하게 안 보여주려고 흔들린 듯 흐릿한 듯 찍은 겁니다. 그런 겁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2001년 하리수 씨가 방송에 데뷔한 이후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글은 얼마나 출판되었을까요? 막연하게 생각하면 얼마 안 될 것 같습니다. 그럼 그 중 트랜스젠더 자서전은 몇 권이나 될까요? 많아야 두세 권 정도? 얼핏 생각하면 몇 권 안 될 듯합니다. 하지만 트랜스젠더 자서전으로 모아서 정리하면 그렇게 적지는 않습니다. 인터뷰집을 포함하면 총 9종이니까요. 느끼기에 따라선 무려 9종일 수도 있습니다.

현재까지 발굴한 기록물 중에서, 첫 번째 트랜스젠더 자서전은 누가 썼을까요? 지명도를 따지면 2001년에 나온 하리수 씨의 책일 듯합니다. 하지만 아닙니다. 첫 트랜스젠더 자서전은 1997년에 나온 ftm/트랜스남성 이동숙 씨가 쓴 <형이라 불리는 여자>(총 2권)입니다. 이동숙 씨는 이후 2000년에 이도미니카란 이름으로 <감옥여행>을, 2004년엔 이문기란 이름으로 <색다른 남자>를 썼습니다.
이문기/이동숙 씨 다음으로 나온 자서전은 진싱 씨의 자서전 <신의 실수도 나의 꿈을 막지 못했다>입니다. 2001년 5월에 나왔죠. 이 책이 흥미로운 건, 한국어 판본이 먼저 나왔고 이후 2004년 중국어 판본이 나왔다는 점입니다.
그 다음으로 하리수 씨의 자서전 <이브가 된 아담>이 2001년 8월, 김비 씨의 자서전 <못생긴 트랜스젠더 김비 이야기>가 2001년 9월에 나왔습니다.
2005년엔 문옥정 씨의 자서전 <이제는 말하고 싶다>가 나왔습니다. 자서전은 아니지만 자서전과 함께 이야기하면 좋을 법한 책 <다큐멘터리 북 3xFTM: 세 성전환 남성의 이야기>가 2008년에 나왔고요. 그러고 나서 김비 씨가 기존 자서전을 개정해서 2011년에 <네 머리에 꽃을 달아라>를 냈습니다.
이렇게 해서 mtf/트랜스여성의 자서전이 총 5권, ftm/트랜스남성의 자서전이 총 3권, ftm/트랜스남성의 인터뷰집이 총 1권 있습니다.
정리하고 보면 의외로 예상보다는 많다는 느낌도 듭니다. 하지만 여전히 부족합니다. 더 많은 트랜스젠더가 자신의 자서전을 출판해서, 트랜스젠더의 다양한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퀴어락 운영위원, 루인.

이런저런 얘기: 몸살, 알바, 퀴어락

01

10년 만에 앓았다는 몸살은 이제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직 방심을 하긴 이르지만, 많이 심할 때에 비하면 움직이는데 큰 무리가 없네요. 어제부턴 말을 하는데도 큰 문제가 없고요.
수요일 오전, 몸살이 너무 심해서 뻗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건 ‘이대로 병원에 실려 가는 것일까?’가 아니었습니다. ‘앗싸, 블로깅 할 거리 생겼다!’였습니다. ㅋㄷ는 아파도 “살 빠지는 거 생각하며 좋아할 인간”이라고 했지만 이런 고민보다 블로깅 할 거리가 생겨서 더 좋았습니다. 크. 암튼 정말로 관련 내용으로 블로깅을 했으니 생산적 아픔이었습니다…. 응?
02
올해 알바 일정을 조율하는데… 작년보다 일하는 시간이 더 늘어날 것 같습니다. 급여가 좀 더 늘어나는 것보다 공부하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인데도 일하는 시간을 늘이는데 동의한 건, 박사논문을 쓸 시기를 대비할 필요가 있겠다 싶어서죠. 한치 앞도 모르는 인생, 언제 쓸지 모르는 박사 논문을 벌써부터 걱정하다니요… 그럼에도 조금씩 준비를 해야겠다고 고민했습니다. 그래봐야 알바 인생, 많이 받는 것도 아니니 얼마나 모을 수 있을까 싶지만요. 아무 것도 안 하고 딱 2년, 논문만 쓸 수 있기 위해선 어느 정도의 재정이 필요할까요? 생활비+자료비 등을 감안하면… 흠… 알바를 하면서 논문을 쓰고 싶진 않은데 그렇게 해야 할지도 모르겠다는 불길한 느낌이 드네요.
03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 일을 하며 아키비스트가 제 적성에 맞는 것이 아닐까라는 고민을 조금은 진지하게 했지요. 현실이 아니니 약간의 로망도 생겼습니다. 어제 이 말을 했더니 마침 그 자리에서 있던 현직 아키비스트, 하지만 비정규직으로 어렵게 생활하는 분이, 단박에 말렸습니다. … 전 퀴어락을 더 잘 운영하고 싶어 아키비스트가 되고 싶다고 했더니 퀴어락을 더 잘 운영하는데 필요한 건 돈이라고 일갈. 그래서 로또를 사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할까 봅니다.
: 매우 적절한 결론. 음하하. ;;;;;;;;;;;;;;
04
5~10년 이내에 이루고 싶은 로망 중엔 퀴어락 사무실 한 곳에 책상을 마련한 다음 온 종일 책 읽고 글 쓰고 아카데미를 여는 것. ‘가능할까?’라고 묻지 않고 그냥 가능하게 해야죠.
05
아, 그나저나 퀴어아카데미 강의 준비를 해야 하는데… 동동… 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