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과 슬픔의 네트워크: 라즈 온 에어Raz on Air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인천인권영화제의 상영작 <라즈 온 에어>를 설명하는 원고를 썼습니다. 좀 급하게 써서 부끄럽지만…
해설서가 나오면 우편으로 보내준다고 하는데, 상영기간에 보내 줄 여력이 없을 테니 나중에 오겠지요.. 책을 받으면 영화제 홍보와 함께 올리려고 했는데.. 이건 안 될 듯하여 소개글 먼저 올립니다. writing 메뉴엔 나중에 책자를 받으면 그때 추가하지요..
===
2013 제18회 인천인권영화제, <라즈 온 에어> 인권해설 원고.
외로움과 슬픔의 네트워크
-루인(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 runtoruin@gmail.com )
당당하게 사는 모습이 보기 좋다고 라즈의 팬은 말했다. 라즈는 당신도 당당하게 살라고 맞받아쳤다. 일상에서 비슷한 일화는 수두룩하다. 나는 특강을 간 자리에서 행복하냐는 질문을 받곤 한다. 어쨌거나 행복하기에 행복하다고 답할 때가 있다. 청중은 감동하고 때때로 박수를 친다. 젠장. 당당하게 사는 모습이 보기 좋다는 말, 행복하냐는 질문 모두 칭찬이 아니다. 당당하게 살 수 있는 존재/범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존재/범주의 범위/한계를 확인하는 언설이자 트랜스젠더는 당당할 수도 행복할 수도 없다는 지배 규범을 환기하는 언설이다. 트랜스젠더의 고통과 불행은 이 사회가 트랜스젠더에게 요구하는 규범적 삶의 양식이자 미디어와 ‘대중’에게 통용되는 유일한 상상력이다. 트랜스젠더가 다양한 어려움과 고통을 겪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라 고통과 불행이 트랜스젠더의 유일한 경험으로 강요된다는 뜻이다. 그리하여 당당하게 사는 모습이 보기 좋다는 말, 행복하냐는 질문은 모두 존재의 사회적 가치를 평가하는 언설이며, 감정의 조건과 삶의 조건을 심문하는 언설이다.
이옥섭 감독의 다큐멘터리 <라즈 온 에어>(2012)는 볼 때마다 다른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처음엔 정말 멋진 존재를 알아 기뻤다. 두 번째 봤을 땐 어떤 슬픔을 느꼈다. 그것은 내가 살며 겪는 어떤 슬픔이나 외로움과의 공명이기도 하다. 몇 번 반복해서 보며 이 작품에 흐르는 정서가 경쾌함과 슬픔, 외로움의 동시적 공존이라고 느꼈다. 즉 <라즈 온 에어>는 트랜스젠더 라즈의 감정과 정동을 다룬 다큐멘터리이기도 하다.
트랜스젠더가 연예인이나 성판매 업소가 아닌 직업군에서도 일하고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는 특강 후기를 받은 적 있다. 라즈와 라즈의 부모님 역시 이런 상상력에서 자유롭지 않다. “네가 갈 데는 그런 데[트랜스젠더 업소] 밖에 없다”는 부모의 말은 이 사회가 공유하는 트랜스젠더의 이미지를 반영한다. 업소에서 일하는 것도 하나의 직업 선택이다. 하지만 업소 선택이 상상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이라면 분명 문제가 있다. 우리/트랜스젠더에게 다른 미래는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미래를 어떻게 상상할 수 있는가는 현재의 삶이 어떤 조건과 상황에 위치하는가를 알려주는 중요한 징표다. 트랜스젠더가 갈 곳이 제한된 것이 아니라 트랜스젠더를 제한된 곳에 가두려는 것이 이 사회의 규범이자 상상력이다. 다른 말로 이 사회는 트랜스젠더를 사유하기보다 소비하기만을 원한다. 사유해야 할 수많은 트랜스젠더 이슈가 소비된다. 이런 한계가 우리/트랜스젠더의 삶을 외롭고 또 슬프게 만든다. 이토록 빈약하고 빈곤한 상상력이 트랜스젠더의 삶을 어렵게 만든다. 다른 말로 트랜스젠더가 아니라 사유하지 않는 이 사회가 문제다. 주제넘은 말이지만, 나는 라즈가 아프리카 TV건 다른 방송이건 방송 진행자로 성공하길 바란다. 그리하여 우리/트랜스젠더가 우리 자신의 삶을 상상할 수 있길 바란다. 이것은 타인이 우리/트랜스젠더의 삶을 함부로 재단하지 말라는 경고다.

애도, 두 번째 + 남북관계 변화와 정치학의 변화

01
이제와 이런 고백(?)은 참 부끄럽지만 사실 난 숨어지낸 DJ빠였다. (정말 이제 와서 이런 고백을 해서 무엇하랴.) 그가 쓴 책과 그를 주제로 한 책을 열 권 정도 사서 읽었고, 그가 대통령이 될 때까지 내가 DJ를 좋아한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 물론 그때는 부산에 살 때였다. 내가 빨갱이란 소리를 들었던 것도 DJ를 좋아했고, 지지를 공공연히 밝혔기 때문이었다. 전두환이 내란음모죄로 재판 받을 당시, 내 주변 사람들이 “그래도 전두환이 인물이다”라고 말하던 분위기에서 DJ를 지지한다는 건 대학 가면 곧 데모를 할 빨갱이란 뜻이었다. 물론 그가 대통령이 되고 나선, 더 이상 지지를 밝히지 않았다.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밝히는 건, 뭐랄까, 좀 부끄러운 일이라고 느꼈기 때문이었다. 지지하지도, 지지를 철회하지도 않는 대신, 난 예전만큼의 관심을 보내지 않았다. 그가 대통령으로서 잘 하길 바랐지만, 그의 정책 중 어떤 것은 꽤나 당혹스러웠고 그래서 조금씩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나는 진보의 의미, 보수의 의미를 다시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십대시절 그는 내게 진보 정치인이었지만, 이제와 다시 평가하면 그는 말이 통하는 보수 정치인이었다(고 노무현 전 대통령도 마찬가지고). 그리고 그 정도의 정치가 진보로, 좌파로 분류되는 상황에 당황했고 (과장해서)절망스럽기도 했다. 진중권 씨와 같은 장사꾼 말고 말이 통하는 보수 정치가 한국에선 정말 불가능한 걸까, 싶었다.

그래서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은 상당한 충격이었다. 애증, 혹은 애와 증 사이에서, 기대와 아쉬움 사이에서 그를 기억하며 지냈기에 안타깝고 또 안타까웠다. 그럼에도 나는 빈소나 영결식에 가지 않았다. 가고 싶었지만 나 자신을 감당할 자신이 없었다. 이런 저런 핑계로 가지 않으며 그저 관련 기사를 찾아 읽고, 라디오에서 그의 소식이 나올 때 귀를 쫑긋 세울 뿐이었다. 오늘 영결식과 운구행렬이 있었는데, 운구행렬이 신촌 부근을 지날 때, 난 그 근처에 있었다. 하지만 결국 그 기회도 피했다. 이유는 나도 모른다. 그저 여전히 숨어서 애도하고 싶었던 걸까?

며칠 째 모차르트의 진혼곡만 듣고 있다.

02
북조선 조문단이 남한에 왔고, 청와대에도 갔다고 한다. 남북 관계가 다시 악화된 지금, 실향민들과 이산가족들은 어떤 정치학을 실천하고 있을까? 나는 늘 이 이슈가 궁금했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전, DJ는 빨갱이였고, 보수층에게 절대 대통령이 되면 안 될 인물이(었)다. 사실 여부는 결코 알 수 없지만, 실향과 이산의 원흉이라는 북조선에 이득이 될 거라면서 그의 대통령 당선을 저지했다. 박정희부터 김영삼까지 역대 정권과 자칭 보수주의자들은, DJ는 빨갱이고, DJ가 집권하면 북한이 침략할 거라며 공안정국을 조성했고 안보 장사를 했다.

내가 아는 편견에서, 나이가 많은 실향민과 이산가족의 상당수는 6.25의 트라우마로 가장 보수적인 집단이다. 그들 역시 아마 DJ가 대통령이 되지 않길 바라지 않았을까? 하지만 박정희부터 김영삼까지 안보 장사를 했던 이들의 정권이 끝나고 DJ가 대통령이 되었을 때, 북조선과 남한의 관계는 건국 이후 가장 좋았다. 그리고 이전 정권에선 매우 드물었던 가족상봉이 상당히 빈번했다. 북조선을 악으로 여겼던, 그래서 DJ를 반대했던 이들의 바람은 그들이 반대했던 인물이 실현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다시 2MB가 대통령이 되면서 남북관계는 냉각 상태고 가족상봉은 이제 요원하다.

이런 상황에서 실향민과 이산가족들은 소위 말하는 진보와 보수라는 이분법에서 어떤 정치학을 실천하고 있을까?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여전히 “빨갱이”일까? 2MB 같은 자칭 보수주의자들을 여전히 지지하고 있을까? 물론 개인의 정치학을 이렇게 단순하게 설명할 수는 없다. “잃어버린 10년”을 그리워하면서도 2MB를 지지할 수 있고, 햇볕정책을 비판하면서도 가족을 만날 수 있었다는 혹은 그럴 가능성이 있었다는 사실 만은 긍정할 수도 있고, 자칭 보수주의자들에게 환멸을 느꼈을 수도 있고. 아마 개개인들의 정치학이 상당히 복잡하게 변했을 듯한데, 어떻게 변했을까? 난 가끔 이런 부분이 궁금하다. 내가 가장 반대했던 인물이 나의 바람을 이뤘을 때, 개인의 정치학은 어떻게 변할까? 가능성은 없겠지만, 일례로 2MB가 주민등록제도를 폐기하고 여성과 남성이란 식의 구분을 없앤다면 나는 어떤 감정을 가질까와 같은 질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