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황: 주절주절

01
너부리 님의 표현을 빌리면, “매주 가장 바쁜 주를 갱신하며 산다.” 일이 많았던 건 아닌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들이라 조금 분주했다. 5월부터 이렇게 살고 있는데 이번 주가 끝나면 좀 여유가 있을 듯. 5월부터 시작해서 이번 주가 고점을 찍을 거 같다. 그러고 나면 공포의 10월, 11월까진 여유가 있을 듯하다. 이 두 달 동안 학회 업무 인수인계, 학회 추계학술대회 준비 및 진행, 글 두세 편, 지렁이 협력사업 보고서 작성, 가을부터 시작할 어떤 프로젝트 글쓰기, 지금 하고 있는 일의 정리 등등을 해야 한다. 덜덜덜.

02
지난 달 다이어리를 정리하다, 영어 논문, 한글 논문과 같은 글을 제외하고 단행본만 18권을 읽었단 걸 깨달았다. 살짝 당황했다. 악착같이 읽었구나 싶겠지만 그게 아니다. 책을 읽는 리듬을 되찾은 것뿐이다. 독서에도 흐름이 있고, 리듬이 있다. 한 번 잃으면 다시 찾기까지 시간이 꽤나 걸리는데, 2월부터 애쓴 결과다.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학 관련 책들을 중심으로 읽고 있다. 물론 책과 논문은 도피 수단으로도 최고다.

03
헌책방에서 일을 하고 있으니 사는 책도 많다. 지지난 주엔 주인장들(난 사장이란 표현보다 주인장이란 표현이 정감 있어 좋아한다, 이 표현에 부정적인 뉘앙스가 있어 좀 그렇긴 해도;;)이 책을 그만 사라고, 하루에 한 권 이상 안 팔겠다고 말할 정도였다. 만날 ‘오늘은 책을 안 살 거야’라고 다짐하지만 끌리는 책을 만나면 어찌할 수가 없다. 다짐을 단단하게 해서일까, 지난주엔 많이 줄였다. 이번 주엔 한 권도 사지 않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 과연?

04
책방에서 일하며 좋은 건, 책을 읽건 글을 읽건 무언가를 읽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거다. 인터넷도 할 수 없고, 후치와 놀 수도 없으니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읽는 것뿐이다. 바쁠 땐 그 시간이 아쉽지만 그래도 이렇게 충전할 수 있으니 다행이다. 하루의 긴장을, 일을 하며 푼다.

05
나의 생활을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따지니 참 기묘했다.

현재 비정규직으로 하고 있는 일은 두 개다. 학회 일과 책방 알바. 학회 일은 11월로 끝나고 책방 알바는 정확한 기약은 없어도 언젠가 끝난다. 근데 비정규직 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

나의 정규직은 활동과 공부/학생인데 이 둘은 생계와는 거리가 멀다. 사람들과 농담으로 자주 하는 얘기인데, 활동만큼 확실한 정규직도 없다. 자신이 원한다면 평생 할 수 있는 직종이다. 사 소 한 문제라면 생계엔 도움이 안 된다는 것. -_-;; 하지만 일 자체가 즐거우니(혹은 괴로우니) 괜찮다. 학생/공부란 일도 내겐 일종의 정규직이다. 가끔 생활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가끔이다.

06
생활비가 어느 정도 안정되었지만, 웃기게도 최근 하루에 한 끼를 간신히 먹는 상황이다. 바쁘기도 하고 귀찮기도 해서. -_-;; 카페에서 일하는 날이면 그나마 두 끼를 챙겨 먹을 수 있는데 학교에서 일하는 날이면 그냥 저녁에 한 끼만 먹는다. 학교에 들어가면 밖에 나가는 게 귀찮아서 그냥 버티는 거다. ;;; 돈이 굳어서 좋긴 한데 몸이 위태롭다.

07
피곤해서인지 제대로 안 먹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두통이 잦다. “뒷목 잡고 쓰러진다”고 할 때의 뒷목에서 통증을 느낀다. 탁, 탁, 때리는 듯한, 튀는 것 같은 통증이다. 편두통이 도지면 뒷목이 아팠지만, 이번엔 새로운 유형이다. 오오, 신기하다. +_+

08
자막 작업을 했지만, 정작 영화제 기간 동안은 극장에 안 들어갔다. 자막에만 신경 쓸 거 같아서. 일테면 ‘아, 저기선 1초 정도 시간을 더 줘서, 사람들이 읽기 편하게 해야 했는데’라거나, ‘저기선 0.5초 정도 자막이 늦게 나왔어야 더 좋았을 텐데’라거나, ‘저 자막은 저렇게 말고 좀 다르게 끊었으면 더 좋았을 텐데’라는 고민만 할 거 같아서. 흐흐

영화제 자막은 한 줄에 11자, 한 번에 총 두 줄이 등장할 수 있다. 영화제에 간 적이 있다면 아실 듯. 그래서 한 번에 띄어쓰기 포함 최대 22자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글자를 어디서 끊는 게 좋을까로 고민한다. 글자의 개수로 끊어야 사람들이 읽기 편할지, 단어를 단위로 끊어야 사람들이 읽기 편할지와 같은 고민이다.

“난 단지 내 삶을 살고 싶을 뿐이다”란 문장을 예로 들자. 이 문장을 끊어주지 않으면 자막 화면에 나오는 글자는 “난 단지 내 삶을 살고 싶”까지는 완전하게 나오고 “을”은 윗부분에서 잘린다. 그럼 “싶”과 “을” 사이에서 끊는 게 좋을까, “살고”와 “싶을” 사이에서 끊는 게 좋을까와 같은 고민을 하는 거다. 흐흐. 이 문장을 한 줄로 출력하고 싶으면 “난 단지 내 삶을 살고 싶다”로 수정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다”가 잘려 나온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세 가지 정도. 하나는 결국 두 줄로 출력하는 것. 다른 하나는 띄어쓰기를 무시하는 것. 또 다른 하나는 다시 한 번 글자의 개수를 줄여 “난 내 삶을 살고 싶다” 혹은 “단지 내 삶을 살고 싶다”, “내 삶을 살고 싶을 뿐”과 같은 방식으로 바꾸는 것. 자수를 줄일 때 부담스러운 건 뉘앙스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아마 앞으로 영화관에 가면 자막 기술에 더 신경 쓸 거 같다. 내년에도 자막 작업을 할 기회가 생긴다면 더 잘해야지.

[영화] 캔디레인, 노 엔드, 뉴 월드: 퀴어영화제 SeLFF 상영작

헝 아이 첸Hung-I Chen [캔디 레인]
로베르토 쿠질로Roberto Cuzzillo [노 엔드]No(End, Senza Fine)
Etienne Dhaene [뉴 월드](The New World, Le Nouveau Monde)

어제까지 퀴어영화제, SeLFF에서 상영하는 세 편의 영화를 꼼꼼하게 살폈다. 말 그대로다. 어떤 영화는 5분 정도의 분량에 한 시간이 걸렸다. 어떤 일로 꼼꼼하게 살펴야 했다. ;;

[캔디 레인](Candy Rain)을 살피는 시간은 내내 유쾌했다. 이야기와 영상 모두 감각적이다.
[캔디 레인]은 기본적으로 네 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할 때 행복한 사람, 혼자 있을 때 행복한 사람, 함께 하고 싶지만 함께 할 수 없어 불행한 사람, 함께 하고 싶은 사람과 함께 있지만 행복하지 않은 사람. 이렇게 네 종류의 사랑 이야기가 느슨하게 이어져 있다. 영상의 색채가 같은데도 에피소드에 따라 다른 느낌을 준다는 건 이 영화만의 매력이지 않을까 싶다. 네 번째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개그코드는 완전 내 취향이다. 흐흐. 살피는 내내 계속해서 키득 거리며 웃었다. 어떤 장면에선, 앉아 있는 장소가 도서관 혹은 공공장소란 사실을 잊고 박장대소를 할 뻔 했다. 주변 사람들에게 너무 미안했지만, 손으로 입을 가리고 연신 웃었다.
두 번째 에피소드와 네 번째 에피소드에 공감했다.
소개글은 여기

다른 두 편은 인공수정과 아동양육 이슈와 관련 있다. 파트너 관계에서 아이를 갖기로 결정하고, 아이를 갖는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은 다양할 테다. 어떤 이들은 의료과정을 거칠 수도 있고, 어떤 이들은 입양 할 수도 있고, 어떤 이들은 ‘대리모’를 고용할 수도 있고, 그리고 …. 두 편의 영화는 서로 다른 이슈를 전하고 있다.

[노 엔드](No End, Senza Fine)는 인공수정을 하기까지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공수정을 하고 아이를 낳고 양육하는 건 깔끔하게 줄였다. 인공수정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다뤘다. 아이를 갖기로 했을 때, 부모의 반대를 직면할 수도 있다. 이건 두 영화 모두 같다. 문제는 인공수정을 하기 전에 파트너에게 죽을 수도 있는 병이 생겼을 때, 이 글을 읽는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유사한 주제를 다룬 영화들에서, [노 엔드]의 변별점은 이 부분이다. 아이를 갖기로 합의했는데, 파트너가 죽을 수도 있는 병에 걸렸다는 걸 알게 된다면 어떤 선택을 할까? 참, 이 영화에선 인공수정 방법으로 의료기술을 사용한다.
소개글은 여기

[뉴 월드](The New World, Le Nouveau Monde)의 초점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아이를 갖기로 결정한 후 이성애가족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해소과정이다. 다른 하나는 정자를 제공한 ‘아버지’의 문제다. 레즈비언 관계에서 임신을 한 사람과 정자를 제공한 타인은, 현재의 가족개념에서 어떻게든 연결이 된다. 임신을 하고 출산을 한 사람은 엄마로 불릴 것이고, 정자를 제공한 사람은 아빠로 불릴 것이다. 그럼 임신한 사람의 파트너는? 아이의 엄마인 것 같기도 하고, 아빠인 것 같기도 하고, 아이와 연결되어 있는 것 같기도 하지만, 또한 완전한 타인 같기도 하다. 정자를 제공한 이가 ‘아버지’로서 자신의 역할을 요구한다면 파트너의 소외는 가중된다. 이 영화는 이 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영화에서 선택한 인공수정 방법은, 직접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꽤나 코믹하다. 놓치기 아쉬울 수도 있다.
두 영화를 살피면서 인공수정이슈와 파트너 관계에선 임신을 할 수 없어 다른 사람의 개입이 필요한 관계를 새롭게 고민할 수 있었다. 공동체, 관계, 아동양육, 인공수정, 출산, 엄마노릇, 아빠노릇과 같은 이슈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상당히 흥미로울 듯하다. 커밍아웃이란 주제에 관심 있다면 [뉴 월드]의 몇 장면들이 인상적일 것 같다.
소개글은 여기

암튼 세 편의 영화를 살핀 후, 좋은 영화의 기준이 조금 바뀌었다. 이야기가 탄탄하고 편집이 잘 된 영화가 좋은 영화일 수 있지만, 이제부턴 대사가 적은 영화가 좋은 영화다. ㅡ_ㅡ;; 아, 무성영화 만세!! ;;;;;;;;;;;;;;;;;; 흐흐.

이쯤해서 고백하자면, SeLFF에서 상영하는 영화의 자막을 제작하고 있다. 덕분에 네 편의 영화를 미리 살피는 행운을 잡았다. 위의 영화 평은 준 내부자의 입장에서 쓴 글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모호하다. 아마 단순 관객으로 영화를 접했어도 비슷한 글을 썼을 거 같다.

포스터 및 프로그래머 추천작은

[#M_ more.. | less.. | ..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