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순찰의 일상, 혐오와 묵인 사이

이곳에 오시는 분에게 여쭙기를 지금 살고 계신 곳에서 동네를 순찰하는 경찰을 몇 번 정도 보셨나요? 제가 대흥동에서 5년 정도 살던 시절 그 5년 동안 경찰차를 한 번도 못 본 듯합니다. 경찰서가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고 있습니다. 5년의 시간 동안 한두 번은 봤을 법한데 기억도 안 납니다. 지금 살고 있는 동네 역시 경찰차는커녕 경찰 한 명 못 봤습니다. 물론 이곳에 살기 시작한지 몇 달 안 되어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요. 하지만 인구밀집지역이고 학교도 많이 있는데 경찰서는커녕 파출소도 안 보이네요(꼭 있어야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어느 게시판에서 읽은 글인데, 한국은 경찰을 불신하고 무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치안은 신뢰한다고 하더라고요. 밤 늦은 시간, 혹은 새벽에 거리를 안전하게 활보할 수 있는 나라는 몇 안 된다면서요. 누구의 입장에서 안전한지는 모르겠지만, 아무려나 대체로 치안이 잘 되어 있는 편이긴 합니다. 거리에 경찰이 없어도 안전하다는 막연함이 있을 정도니까요.
이 뜬금 없는 글을 쓰는 이유는 이태원 경험 때문입니다. 이태원에 장기 거주하셨다면 알고 계실 겁니다.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경찰을 마주한다는 점을. 이태원지하철역 출구에 이태원경찰서가 있어서는 아닙니다. 저의 경우 하루 두 번은 그 앞을 지나치기 때문에 경찰을 자주 마주한다고 느낀 것이 아닙니다. 아침에 알바를 하러 가는 길이건, 늦은 저녁 집에 들어가는 길이건 거리를 순찰하는 경찰차나 경찰을 하루에 한 번은 꼭 마주쳤습니다(주말엔 미군 헌병 무리도 마주하고요). 싸이렌을 울리며 긴급출동하는 경찰차를 보는 것도 낯선 일이 아닙니다. 이태원에서 경찰의 방범 행위는 일상에 스며 있습니다. 어떤 날엔 취객과 경찰이 대치한 장면을 보기도 했습니다. 그 취객은 이태원에 거주하는 사람인지, 길바닥에 누워선 자신에게 무기가 없다는 걸 알리려는 듯 두 팔을 들고 있었고요(미국 영화에서나 볼 법한 풍경이었습니다). 전 경찰의 검문이 부당하다고 싸울 줄 알았는데 조용히 누워 있는 모습에 복잡한 감정을 느꼈습니다. 또 어떤 날엔 그냥 동네 주민 싸움인데 경찰이 출동하거나 순찰 중인 경찰이 개입하기도 했습니다. 주민의 삶에 경찰의 개입, 순찰은 그냥 일상입니다.
이태원이 어떤 공간인지 이보다 더 잘 표상하는 일도 없는 듯합니다. 관광특구이고 다문화지역이고 하는 말, 다 좋아요. 하지만 공공기관에게 혹은 공권력에게 이태원은 우범지역이며 위험지역입니다. 하루에 몇 번 씩 정기적으로 경찰이 순찰을 돌아야 하는 지역입니다. 물론 모든 이태원 지역을 이렇게 순찰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제가 살았던 구역이 가난한 계층의 사람들이 모여 있어서 혹은 이슬람 사원이 있고 아랍 계열과 중국 계열 사람이 많이 모여 있어서 순찰이 잦은지도 모릅니다. 이건희가 살고 있다는 한남동에도 이런 식으로 순찰할까요?(아, 그들을 경호하려고 순찰이 잦을 수도 있겠네요). 만약 이태원의 특정 구역에만 순찰이 잦고 또 정기적이라면 단순히 유흥지역이라서가 아니라 계급과 인종/민족 혐오가 함께 하는 거겠죠. 빈민지역 혹은 여러 인종이 함께 있는 지역은 치안에 위험이 있다는 식의 복잡한 편견과 혐오가 기저에 흐르고 있는 거겠죠.
이태원은 복잡한 문화가 얽혀 있지만 그런 만큼이나 혐오와 경계도 깊은 곳이란 느낌입니다. 물론 그 혐오와 경계를 표출하는 방식이 좀 다를 뿐인 거죠. 그래서 이태원은 어떤 방식으로 방문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동네로 기억될 듯합니다. 주말 게이바를 찾기 위해서냐 이국 음식을 먹기 위해서냐 이슬람 사원을 구경하기 위해서냐에 따라 전혀 다른 풍경이겠지요. 어떤 구역에서 거주하냐에 따라서도 전혀 다른 동네로 기억할 테고요. 제게 묻는다면 경찰의 순찰이 일상인 동네라고 답하겠습니다. 트랜스젠더 업소, 게이힐, 후커힐의 공존보다 더 인상적인 풍경은 경찰이 일상적으로 하고 있는 순찰이니까요. 언젠가 이 지점에서 글을 써도 좋겠다 싶어요.
*
설 연휴(?) 대비 예약발행한 글입니다.

바뀐 동네: 문화 상상력, 문화 감수성의 차이 / 이태원과 비교해서

아침 알바를 하러 가는데 뭔가 낯설었다. 학생들이 학교 가는 모습이 묘하게 어색했다. 뭐가 문제였을까? 지금 사는 집엔 정면에 초등학교, 뒷쪽에 중학교와 초등학교가 있다. 그러니 출근시간과 등교시간에 학생이 많은 게 이상할 것 없다. 그런데도 어색했다. 이태원에 몇 년 살지도 않았는데 그 사이 감각이 변한 것일까?

이태원에서 알바 갈 때도 등교하는 학생들을 마주했다. 다문화라는 의미불명의 언어를 사용한다면, 그럼에도 이태원에서 다문화는 정말 적절한 수식어인데, 이태원에선 다문화가 그냥 일상이다. 다양한 언어, 출신국가, 성적 지향, 젠더 실천, 계급 등에 있어 다종다양한 방식이 공존했다. 한국 사회의 지배규범이 부재하지는 않는다고 해도, 여전히 한국 사회의 지배규범이 많은 사람의 삶을 관통하는 질서지만, 그것이 유일한 질서는 아니었다. 이를 테면 내가 살던 동네에서 “할랄”은 가게가 장사를 하는데 매우 중요한 표시였다. 이슬람 문화는 그 동네의 관습이었고 라마단 기간에 금식과 금욕을 상징하는 구절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아울러 집에서 몇 분만 나가면 트랜스젠더 업소가 밀집해 있고 게이힐, 후커힐이 있었다. 그 동네의 어린이집과 초등학교 역시 마찬가지였다. 다양한 민족 출신의 아이들이 어린이집과 초등학교에 다녔다. 이태원에서 “한국인”이란 개념, “한국문화”라는 것은 규정할 수 없었다. 그래서 동네 자체가 재밌었다.
내게 가장 인상적 풍경은 주말 늦은 오후에 일어났다. 어느 여름날 늦은 오후 혹은 이른 저녁, 방에 앉아 있는데 동네 아이들이 모여 노는 소리가 들였다. 나는 아무런 의심도 없이 한국어로 떠드는 소리라고 인지했다. 무심히 그렇게 여기며, 아이들이 떠들며 노는 동네라니 정말 좋다고 중얼거렸다. 내 어린 시절도 기억났다. 하지만 이것은 나의 착각이었다. 다시 들었을 때 그 언어는 아랍 계열의 언어였다. 때때로 영어로, 프랑스어로 얘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국이라는 땅에서, 한국어가 당연하다고 믿다가 한국어가 아닌 언어로 떠드는 아이들의 풍경을 마주할 때의 즐거움이란! 나의 무지와 조우하는 찰나였고 이태원에 가진 애정이 좀 더 깊어진 찰나였다(임대인만 아니었다면!!). 실제 내가 살던 동네엔 아랍계열, 중국계열 사람이 많았다. 등교하는 아이들의 인종이 동일할 수 없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지금 사는 동네의 등교 풍경은, 소위 한국인이라고 불리는 인종, 이것은 매우 위험하고 무식한 언어이자 상상인데, 그럼에도 이런 상상으로 해석해도 무방할 법했다. 더군다나 교복을 입고 있기에 다들 비슷비슷한 외모, 동일한 복장이라 모두가 동질한 혹은 매우 유사한 상상력을 체화할 것만 같았다. 아파트와 주택이 밀집한 동네여서 더 이런 느낌을 받는지도 모른다.
이것이 매우 오만하고 방자한 발언임은 안다. 이태원을 낭만화하는 것이 아니다. 이태원에 사는 사람이 모두 다문화 감수성이 빼어나서 문화혐오증이 없다고, 지금 사는 동네의 학생이 모두 단일문화에 젖어 다문화 감수성이 없다고 말함도 아니다. 개개인의 변수는 크다. 하지만 이태원에서 초등학교를 다닌 아이와 지금 사는 곳에서 초등학교를 다닌 아이의 문화 감수성 혹은 문화 상상력은 다를 수밖에 없다. 연례 행사로, 다문화 체험을 한답시고 토요일 오전에 한두 시간 이태원을 혹은 이슬람 사원을 구경하는 것(거의 매주 이태원을 ‘관광’하는 학생 집단을 마주했다)으로는 결코 지닐 수 없는 그런 문화 감수성을 말하려는 것이다. 책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 동네에 살며 때론 문화혐오증을 겪고 때론 다문화를 그냥 일상으로 여기며 사는 삶이 주는 감수성과 상상력이 다를 수밖에 없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이태원 시절 임대인은 내게 트랜스젠더를 “여장남자”라고 부르고 “그 미친 년들” “미친 놈들”이라고 말했다. 그렇다고해서 업소를 없애야 한다고 트랜스젠더 업소, 게이힐, 후커힐을 폐쇄해야 한다고 말하진 못 했다(물론 이태원과 보광동 재개발 사업에 트랜스젠더 업소 밀집지역, 게이힐, 후커힐, 이슬람사원 등을 없애려는 기획과 욕망이 없다고는 못 하겠다, 나는 이 지점을 강하게 의심한다). 아무리 혐오해도 그것을 공공연히 밝히지 못 하고 사적으로만 말해야 하는 어떤 문화적 무게가 있음을 말하고 싶다. 만약 지금 내가 사는 동네에 트랜스젠더 업소가 들어서겠다고 하면, 간판부터 ‘트랜스젠더’를 내건 업소가 들어선다면 그것이 용납될까? 학생들에게 유해한 시설이 들어선다고 당장 데모를 하지 않을까? 지하철 역 근처가 아니면 술집은커녕 편의점도 찾기 힘든 동네에선 가능할 것 같지 않은 문화다. 혐오해도 공공연하게 말할 수는 없는 곳과 혐오를 표현의 자유이자 안전하게 살 권리라고 주장할 수 있는 곳은 문화 상상력, 문화 감수성을 형성하는데 상당한 차이를 야기할 수밖에 없다.

아침, 알바하러 가는 길에, 등교하는 학생 무리를 조우하며 이런 고민이 들었다. 이 동네 와서 무척 심심한 동네라고 구시렁거렸는데, 이 이유를 알 것만 같았다.

캠프 트랜스: 이태원 지역 트랜스젠더의 역사 추적하기, 1969~1989

소문만 무성했던(응?) 원고 “캠프 트랜스”가 출간되었습니다! ;;;;;;;;;;

이태원 지역 트랜스젠더의 역사를 추적 혹은 추정한 논문입니다. 과거 기록을 발굴하고 그것을 토대로 상상력을 펼친 작업이랄까요.. 논문 자체엔 부족한 점이 많지만 인용한 자료를 읽는 재미는 있을 거예요. 하하.
파일 및 서지사항은 “writing” 메뉴에서 찾으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