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이연 제66차 콜로키움. [라벤더 위협과 바이섹슈얼 선택]

많은 분이 참가하시면 좋겠습니다! 히히히.
여이연 제66차 콜로키움. [라벤더 위협과 바이섹슈얼 선택]
발표: 이브리
장소: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발표자 소개: 바이섹슈얼, 퀴어, 페미니즘 관련 글을 읽고 번역하는 데 관심이 많습니다.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연구원 중 하나이며 「퀴어아카이브 퀴어락」 운영위원입니다.
발표 내용:
1969년은 전미여성협회의 초대 회장 베티 프리단이 ‘라벤더 위협 Lavender Menace’ 라는 유명한 문구가 들어간 연설을 한 해로 알려져 있습니다. “라벤더 위협”이란 게이/레즈비언/비이성애자를 상징하던 라벤더 색을 빗대어 비이성애를 위협으로 인식한 표현입니다. 프리단을 비롯한 몇몇 페미니스트는 여성협회의 레즈비언과 그들이 제기하는 의제를 여성운동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여기거나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폄하하고, 심지어 협회 내 레즈비언 활동가의 존재까지 부인하며 레즈비언 운동과 거리를 두는 의지를 천명했습니다. 이에 반발한 레즈비언 활동가들은 시위를 하고, 선언문을 발표하며 활동을 전개해 나갔습니다. 바야흐로 레즈비언 페미니즘의 역사가 시작되는 순간이었습니다.
그로부터 21년이 지난 1990년, 미국 메사추세츠 노샘프턴의 성소수자 커뮤니티는 자긍심 행진(pride parade)에서 1989년에는 표기했던 바이 섹슈얼을 제외하고 “레즈비언 & 게이 퍼레이드”로 재개명을 선포했습니다. 이를 둘러싸고 커뮤니티에서는 열띤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물론 이 논쟁은 단순한 행진의 이름만을 둔 의견 나눔이 아니라 커뮤니티에 바이섹슈 얼을 포용해야 하는가에 관한 분쟁이었습니다. 바이섹슈얼을 둘러싼 유사한 논쟁과 분쟁이 비슷한 시기에 영국/미국의 여성이반 커뮤니티에서 발생했으며, BDSM 및 레 즈비언 에로티카와 마찬가지로 이 당시의 레즈비언 커뮤 니티에서 ‘바이섹슈얼’은 분쟁의 불씨를 소환하는 키워드 였습니다.
최근 커뮤니티 안팎의 젊은 세대 사이에서 바이 섹슈얼로 정체화하는 인구가 증가 중이라는 사실은 종종 동성결혼권리를 성취해 낸 서구의 ‘동성애자 운동의 종말’을 보여주는 증상으로 독해되곤 합니다. 바이섹슈얼 정체성은 운동과 정치에 대한 위협으로 재현되고 있는 셈입니다. 현재 한국의 성적소수자 커뮤니티에서도, 그 열기는 덜할지 모르지만 비슷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는 듯 합니다. 관련된 운동과 연구의 지형까지 포함해서 바이섹슈얼은 대략 두 가지 모습으로 재현됩니다. 하나는 곧 커뮤니티를 떠날 비윤리적이고 쾌락주의적인 존재, 기꺼이 결혼으로 이성애 정상성을 구현하며 그것을 열망하기까지 하는 존재, 필연적으로 성적소수자의 권리투쟁에의 헌신과 열의가 동성애자보다 못한 믿을 수 없는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다른 한 편에는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경계를 횡단하는 존재, 이성애규범 뿐 아니라 동성애규범성까지 깨버리는 문제적이고 전복적인 존재로서의 바이섹슈얼 이미지가 있습니다. 이 두 이미지는 서로를 지탱하는 동전의 양면이며, 그 뿌리가 되는 인식론은 서로 그리 다르지 않습니다. 필요한 맥락에서 편히 쓸 수 있을 정도로 연구자의 구미에 맞게 바이섹슈얼을 재단한 다음 소환할 뿐입니다. 그렇게 소환된 바이섹슈얼리티가 무언가에 대한 욕망인지, 실천인지, 정체성인지 아니면 그 모두인지, 그렇다면 무엇에 대한 누구의 욕망이고 어떤 실천이며 무엇 과의 동일시인지, 가장 중요하게는 이러저러한 개념으로 바이섹슈얼을 규정하고자 하는 연구자 자신의 의도와 욕망은 무엇인지에 대한 진지한 질문은 아직 충분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여성문화이론연구소의 이번 콜로키움에서, 평소에는 별 필요 없지만 게이와 레즈비언이라는 이름으로 도저히 설명이 불가능한 그 무엇(?)이 등장할 때에 한해서 편리하게 불러냈다가 다시 비가시의 영역으로 추방할 수 있는 양순한 바이섹슈얼이 아니라, 게이/레즈비언 정치와 불화하고 충돌함으로써 퀴어 인식론에 자신을 기 입하고자 하는 바이섹슈얼 이론 중 일부를 같이 검토하고 토론해보는 시간을 나누고자 합니다.

사고쳤는데 성공? + 트랜스페미니즘 모색

01
며칠 전 2010년 결산 글을 쓰면서, 여이연 홈피를 링크(http://goo.gl/VQv4g)했다. 글이 실린 이번 호 소개글 겸 머리말이 있어서였다. 특집 주제는 이곳에 오는 분도 관심이 많을 듯해서 뻔뻔하게 링크했지만, 내용은 나중에 확인했다. 글을 읽고 재밌더라. “이러한 의도를 가장 직접적으로 담고 있는 글”로 나의 글을 소개했기 때문이다.
지난 7월 말 즈음 원고청탁을 받았다. 그때 기획의도는 대충 1990년대 이후 성정치 맥락에서, 앞으로는 어떤 이슈를 어떤 문제의식으로 고민하면 좋을지를 나누는 지면을 마련한다고 했다. 답장에도 적었지만, 정확하게 내가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더라. 아울러 기획의도가 정확하게 와닿지 않았다. 무엇을 하려는 걸까? 뭔가 알 것 같긴 한데, 정확하게 잡히지 않는 상태였다.
내가 둔한 탓도 있거니와, 기획의도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탓하는 건 아니다. 이건 지극히 자연스럽다. 많은 경우, 기획의도는 시작할 때가 아니라 끝날 즈음 명확해진다. 처음부터 기획의도를 매우 명징하게 설명하긴 쉽지 않다. 그래서 나는 내가 무슨 글을 쓰면 좋을까요,라고 다시 물었고 답을 들었다. 꽤나 명확한 내용이라 그 요청대로 글을 구상하다, 막판에 글의 방향을 틀었다. 하하. 지난 글(https://www.runtoruin.com/1738) ㄴ에도 적었듯, 지금 시점에서 해야 할 이야기가 무엇인지 깨달았달까. 그래서 글을 쓰며 많이 걱정했다. ‘괜찮을까? 나 혼자 엉뚱한 글을 쓰는 것은 아닐까?’ 걱정을 많이 했는데, 나의 글을 소개한 구절을 읽으니 당황하지 않을 수 없다. 사고쳤는데 그게 성공한 격이랄까? 크크. 암튼 여/성이론 측에 누를 끼치지 않은 것만도 다행이다.
02
여/성이론에 실은 글은 트랜스페미니즘을 모색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이런저런 얘기를 하는데, 아직 미흡하지만 나의 언어로 풀어내고 있어서, 나 혼자 좋았던 부분이 있다. 물론 내가 읽지 않은 어느 누군가가 이미 다 했던 말이겠지만. ㅠㅠ
지배규범은 소위 규범적이라고 믿는 이들의 행동을 설명하지 않는다. 비규범적이라고 여기는 이들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그래서 지배규범을 실천하는 이는 규범적이라고 믿는 이들이 아니라 비규범적이라고 불리는 이들이다. … 뭐 이런 얘기를 하고 있다. 미디어에서 떠드는 남성성 규범과 소위 아저씨라고 불리는 이들이 실천하는 남성성 규범의 간극을 떠올리면 어렵지 않은 얘기다. 아울러 젠더가 정말 문화적 구성과정이라면, 트랜스젠더 이론과 페미니즘 이론이 젠더 정치로서 어떻게 접점을 모색할 수 있는지를 살피고 있다. 무려 실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ㅠㅠ
나의 입장에선 뻔한 얘긴데 다른 사람은 어떻게 읽을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