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호를 규범 삼지 않기를…

강의를 할 때면 가끔.. “어떤 트랜스젠더는 의료적 조치를 하지 않으면서 비규범적으로 전복적으로 사는데 하리수 씨 같은 경우처럼 순응적으로 사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이렇게 순응적으로 사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세요?”라고 묻는 경우가 있다. 노골적으로 이렇게 말하지 않아도 이런 뉘앙스의 질문은 꽤 많은 편이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히 단발적 질문이 아니다. 여성학이나 페미니즘 내부 혹은 그 언저리에 있는 곳에선 특히나 선호되는 방식이다. 즉 페미니즘 내부 혹은 그 언저리에 있는 이들은 모호하거나 전복적으로 여길 법한 주체를 참 애호한다 싶다. 이를 테면 몇 년 전 세 명의 ftm이 등장한 다큐에서 소위 여성주의 주체, 규범적이지 않은 남성성을 아무렇지 않게 말하는 인물이 유난히 인기가 많았다. 소위 남성성 규범을 강화하는 듯한 등장 인물이 중요한 이야기를 매우 많이 했음에도 그의 말은 주목받지 못 했다. 때론 규범적이라 여기는(실상 전혀 규범적이지 않은데도!) 삶을 저어하거나 때때로 폄훼하기도 했고.
이런 분위기, 이런 발화를 들으며 차마 직접 못 하고 담아둔 말이 있는데… 모호하고 전복적 삶을 사는 인물이 그렇게 좋으면 최애캐로 삼지 말고 직접 그렇게 사셨으면 좋겠다. 자신이 못 하는 것 혹은 하지 않고 있는 것을 타인에게 요구하고, 특정 범주의 인물을 전복의 주체로 재현하지 말고 본인이 직접 그렇게 살면 얼마나 좋을까. 자신이 못 하는 것 혹은 하지 않는 것을 타인에게 요구하고 그 요구를 규범 삼아 판단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러니까 애호하는 것까지는 좋은데 그런 애호가 마치 자신의 정치적 입장, 자신이 직접 행하고 있는 행위이자 실천인 것처럼 믿으면서 그렇게 살지 않는 존재를 재단하는 일은 하지 않았으면 한다. 재단하지 말고 그냥 직접 실천하시면 더 좋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