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 연구, 아웃팅, 두려움

이런 말 하기 좀 그렇지만 제가 이해 못 하는 것 중에, 퀴어 이론을 공부하고 싶고 연구해서 출판하고 싶지만, 글이 나오면 아웃팅 될까봐 못 쓴다는 말을 이해 못하는 편입니다. 왜? 왜? 도대체 왜?
덧붙이면 퀴어 이론으로 글을 발표하면 내게 뭔가 엄청난 일(그것이 부정적이건 긍정적이건)이 일어날 것 같지만, 제겐 아무 일도 안 일어났습니다. 적어도 제겐 그랬어요. 물론 저는 트랜스젠더 이론으로 글을 써서 아무 일도 안 일어나는 거겠지만요. 트랜스젠더 이론 따위, 트랜스젠더 이슈 따위, 읽는 사람은 극히 제한되어 있으니까요. 선택받은 사람만(www.cpnet.or.kr 😛 ) 트랜스젠더 이슈를 다룬 글을 읽으니까요. 😛
암튼 퀴어 이론으로 연구하고 글을 쓰고 싶은데 아웃팅이나 어떤 불이익이 두려워 못 쓰겠다는 말을 이해할 수가 없어요. 더 정확하게는 무슨 불이익이 생긴다는 건지 잘 모르겠거든요. 불이익이 생길 지점이 있다는 것이 흥미롭기도 합니다. 부당한 대우엔 분명 투쟁하고 문제제기해야 하지만, 지금까지 누리던 이득을 누릴 수 없게 될까봐 두렵다는 반응은 제가 이해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투쟁할 지점이 발생하니 더 좋은 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물론 소심한 저는 투쟁하지 않습니다만.. ;ㅅ; 늘 얘기하지만 단팥죽을 주문했는데 소금죽이 나와도 그냥 먹는 얌전한 인간인 걸요. 그리고 이 일화를 비유로 받아들이는 분이 계시는데 실화입니다.)

커밍아웃과 아웃팅, 사이에서

ㅈㄱㅇ님의 블로그에서 아웃팅과 관련한 글(아웃팅은 범죄다, 란 식의 운동방식이 가지는 한계 혹은 문제점)을 쓰고 싶다는 글[링크를 걸어도 되나 잘 몰라, 일단 생략]을 읽으면서, 종종 차라리 아웃팅이 더 편한 경우도 있다고 중얼거렸다. 아웃팅을 범죄화하는 운동이 오히려 커밍아웃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의문과 함께. 종종, 아웃팅을 하면 안 된다는 정도로 알고 있는 집단에서 커밍아웃을 할 때의 그 “철렁”하는 혹은 “술렁”이는 반응. 아웃팅의 범죄화가 커밍아웃조차 하지 못하도록-말 그대로 조용히 지내도록 만드는 (역)효과를 가진 건 아닐는지. (아웃팅 자체가 범죄인 것도 아니거니와.)

그런데, 또 이런 의문들 속에서, 커밍아웃을 한다는 건 무엇을 혹은 어떤 맥락을 커밍아웃 한다는 걸까? 모든 사람들에게 커밍아웃의 의미가 다른 상황인데. 소위 말하는 “이성애자”가 아닌 루인은, 트랜스 혹은 트랜스젠더는 곧 이성애자라고 간주하는 사회에서, 루인은 트랜스예요, 라고 커밍아웃하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

트랜스젠더다 혹은 동성애자다와 같은 커밍아웃보다는 좀 덜 무겁다고 여겨지는, 채식주의자라고 밝히는 행위, “루인은 채식을 해요, 우유나 계란도 안 먹어요.”라고 말을 하면 사람들은 루인이 채식주의자라고 여기기 시작하지만, 이때의 반응이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은 다음날 고깃집에 가자고 얘기하고, 어떤 사람은 빵을 권하고, 어떤 사람은 반복해서 무얼 안 먹는지 물어보고. 한동안 이런 식의 반응은 채식주의를 정치학이 아닌 취향으로 간주하는 행위이거나 루인이 채식주의자임을 무시하는 것으로 해석하곤 했다. 하지만 정말 그런가? 루인이 채식주의자임을 알고 있고, 때로 루인보다 더 신경 써주는 사람들도 종종 이런 식으로 반응하는 걸 접하며, 채식주의자라고 얘기하는 것이 모두에게 동일한 의미와 무게로 다가가지 않는다는 걸 깨닫기 시작했다.

커밍아웃이라고 큰 차이가 있겠는가, 싶다. 루인의 친구 중 한 명은, 작년 초에 커밍아웃을 했음에도 1년 정도가 지난 최근에야 루인이 트랜스임의 의미를 고민하기 시작했음을 얼마 전에 깨달았다. 1년 정도의 시간. 하지만 루인은 루인에게 커밍아웃 하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걸렸고, 지금도 커밍아웃 앞에서 취약하게 반응하곤 한다. 커밍아웃으로 인해, 어떤 부분들, 경험들을 말함으로서 상대방이 루인을 떠나면 어떡하나 하는 불안, 두려움. 하지만 커밍아웃 자체가 애초 상대방을 믿는 만큼이나 어떤 불안이나 두려움을 안고 시작하는 건 아닐는지.

사실, 누군가에게 “나는 ○○이다”라고 커밍아웃을 하면, 상대방이 곧장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하고 얘기할 지를 깨닫길 기대하는 것 혹은 요구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인지도 모른다. 커밍아웃이 인정투쟁이 아니라, 상대방과 커밍아웃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맺고자 하는 의사표시라면, 자신이 상대방에게 커밍아웃을 하겠다고, 고민한 시간만큼 혹은 그 이상의 시간이 상대방에게도 필요할 테다(지금의 사회적인 맥락에서). 커밍아웃을 하는 사람조차도 자신과 소통하고 관계 맺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을 텐데. 커밍아웃의 의미가 다들 조금씩 다른데 자신이 원하는 기대 수준으로 상대방이 행동할 것을 요구하는 것, 그것이 어쩌면 커밍아웃과 아웃팅을 고정적인 것으로, 그래서 단 하나의 의미로 규정하려는 건지도 모를 일이다. 더구나 커밍아웃과 아웃팅의 경계가 그렇게 명확한 것도 아니잖아.

그런데 커밍아웃을 하며 자신이 감당해야 할 몫과 상대방이 감당해야 할 몫 사이에서, 무엇을 감당해야 할까?

그냥, 어쩔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으라지… 라고 중얼거려야지. 떠날 테면 떠나라지, 여기서 끝이라면 그런가 보다고 중얼거려야지. 관계가 어색해진다면 그러라지…. 커밍아웃 혹은 아웃팅 사이에서, 서로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만 관계를 맺고, 시간이 흐르면서 그것의 의미를 모색할 수밖에 없으니까. 이런 중얼거림이 체념은 아니니까. 지금의 시간을 견디면서 모색하는 과정일 뿐.

그나저나, 커밍아웃 혹은 아웃팅과 관련한 글을 참 많이 쓰는구나, 싶다. 키워드로 커밍아웃만 눌러도, 적지 않은 글이 쏟아지는 걸 보면…. 아무려나, ㅈㄱㅇ님의 글을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