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잔치

어제 오후에 지인의 돌잔치에 갔다 왔다. 수업 준비 등으로 일정이 빠듯해서 가지 않을까 고민도 했지만 그래도 가야지 싶어 갔다. 돌잔치는 처음 참여하는 거라 여러 가지로 어색했고 또 낯설었는데..

돌잔치를 진행하는 사회자가 지인에게 물었다: “남편분에게 여쭐게요. 처음 부인을 봤을 때 어땠나요? 어떻게 처음에 반했나요?” 지인은 잠시 불쾌하거나 난감한 표정을 짓더니, 아내가 고등학교 때 따라다녀서 그때 처음 봤다고 답했다. 사회자는 믿을 수 없다며 지인의 파트너에게 확인하는 질문을 했다. 파트너는 고등학교 때부터 자신이 따라다녔다고 답했다.
상황을 아는 사람들은 모두 웃었다. 사회자는 자신의 진행이 재밌어서 사람들이 웃는다고 믿었을까? 그러는 게 좋을 것 같다. 그렇다면 어쨌거나 자신감이라도 얻을 테니까. 혹은 사람들의 웃음을 어떻게 해석했을까?
지인과 그 파트너는 여고에서 만났다. 지인은 이후 호르몬 등 의료적 조치를 했고, 주민등록 상 성별을 변경했고, 양가 부모님이 모두 아는 상황에서 결혼을 했고, 쌍둥이를 낳았다. 인간을 이해하는데 있어 트랜스젠더를 기본값으로 삼지 않는 사람에게 이런 삶은 당혹스러운 이야기려나? ‘남잔 줄 알았는데 트랜스젠더였어’ 혹은 ‘여잔 줄 알았는데 트랜스젠더야’라는 식의 반응이 문제될 것 없다고 여기는 사회에서, 트랜스젠더의 가족 행사는 뭔가 묘한 느낌이다.
아는 사람은 알지만 내가 기억할 수 있는 수준에서 난 돌잔치에 참가한 적 없다. 소위 친척의 돌잔치에도 안 갔다. 가족 행사에 참여하는 것 자체를 싫어하니 특별할 것 없다. 그리고 결혼, 출산, 돌잔치와 같은 삶의 방식은 소위 이성애규범이라고 불리는 그것에 부합하는 방식의 삶이다. 그러니 지인의 돌잔치에 참여한 것이 이상할 수도 있겠다. 참 이상하지.. 지인의 삶은, 어떻게 보면 참으로 이성애규범적이라 할 수 있음에도, 조금도 규범적이지 않은 느낌이다. 이유는 아직 모르겠다. 사건만 나열하면 규범적인 것 같은데도, 규범적이란 느낌이 전혀 없다. 이상하게도 계속, 퀴어한 느낌이다. 왜일까?
아무려나, 지인과 파트너, 그리고 두 아이 모두 즐겁고 또 경쾌하게, 발랄하게 살았으면 좋겠다.

이성애주의자 LGBT: 결혼과 이성애주의 이슈에서

결혼 자체가 이성애주의가 아니라 결혼한 사람은 모두 이성애자라는 인식이 이성애주의다. 이런 인식이 모든 결혼한 사람에게 이성애-이원젠더 규범을 자연질서로 강제한다. 따라서 ‘내’가 레즈비언이건 게이건 다른 어떤 범주건 상관없이 이런 식으로 사유한다면 이성애자는 아닐지언정 이성애주의자이긴 하다.
이런 선언문 같이 거친 말을 하는 건 이성애주의가 마치 퀴어 공동체엔 없다는 것처럼, 혹은 기혼이반이나 결혼하는 바이에게만 관련 있는 것처럼 이해하는 태도, 이성애주의가 레즈비언 등에겐 관련 없다는 식으로 발화하는 방식에 화가 났기 때문이다.
여러 번 얘기 했지만 한국에서 동성결혼을 할 수 없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 이런 언설은 트랜스젠더를 부정하거나 배제한다. 많은(이것은 고의적 수식어다) 트랜스젠더가 동성결혼을 한다. 결혼하거나 아이를 가지면 태어났을 때 지정 받은 젠더로 살 수 있을 거란 믿음이나 주변의 강요로, 혹은 파트너와의 합의 하에 호적 상 성별을 바꾸지 않은 상태로 결혼을 한다. 피상적으로 이 결혼은 이성애 결혼 같겠지만 이성애 결혼이 아니다. 어떤 결혼은 명백한 동성결혼이고 어떤 결혼은 비이성애 형태의 결혼이다. 그러니 한국 사회에서 동성결혼이 불가능하진 않다. 동성결혼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결혼이 이성애 결혼으로 인식되면서 주요 이슈로 다뤄지기보단 누락된다. 혹은 트랜스젠더의 경험은 여전히 특수하거나 LGBT 공동체에서도 주변부 이슈로 인식되기에 쉽게 간과되는 것일까? 퀴어 삶의, LGBT 삶의 복잡성을 간과하고 결혼을 이성애주의로 등치하는 태도 및 인식이야 말로 이성애주의의 반복이자, 모든 사회적 제도를 규범적 이성애가 독점하는 기획에 동참하는 행위다. 이런 반복과 동참이 “결혼=이성애”란 공식을 자연화한다.
‘동성결혼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제도적으로 동성결혼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표현하는 것이 정확하다. 그리고 제도적 허용 여부로 가부를 판단하고 결혼의 형태를 상상할 이유는 없다. 동성결혼의 제도화를 둘러싼 논의와는 별도로 결혼 자체를 어떤 경험 맥락에서 상상하고 있는지를 재검토해야 하지 않을까?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와 결혼을 곧장 등치시키고 이를 이성애 권력과 붙이는 식의 언설을 반복한다면, 이런 얘기를 하는 사람의 퀴어정치와 LGBT란 용어 사용을 근본적으로 질문하지 않을 수 없다.
LGBT란 용어 사용은 단순히 동성애자 외에 양성애자와 트랜스젠더를 포함하는 식이어선 안 된다. 기존 상상력 자체, ‘이성애 vs 동성애’라는 이분법적 상상력과 그에 따른 언어 자체를 재검토함에서 출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