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을 가면/가장으로 읽기

지난 주 수업시간의 주제는 대중 문화 속에서 가면 혹은 가장masquerade하고 있는 텍스트들을 분석해서 각자 발표하는 것이었다. 처음엔 [메종 드 히미코]를 분석할까 했지만, 안 본 사람이 많을 것 같아, [300]과 [음란서생]을 텍스트로 선택했다(결과적으론, 이 영화를 다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아래에 있는 글은 이 두 텍스트 분석 중에서 [300]을 분석한 부분. 물론 전쟁영화가 “남성동성욕망”을 너무도 공공연히 드러낸다는 지적은 너무도 진부하지만, 그래도 이런 지점들을 분석해서 얘기하는 작업이 재밌긴 하다. 사실 이번 글은 쪽글로 쓰면 된다는 점에서 일부러 부담없는 텍스트를 고른 것이기도 하고, 부담이 없다는 점에서 뭔가 상상력을 맘껏 펼칠 수 있었다. 물론 이런 상상력 역시 기존의 앎 혹은 지식에 토대를 둔 것이긴 하지만. 아무려나, 몇몇 지점들이 재밌어서 이렇게 올리지만, 솔직히 뒷감당할 자신은 없음.;;;

[#M_ 읽기.. | 접기.. |

“대상으로서의-여성woman-as-object”을 통해 “남성동성애” 욕망을 드러내는 텍스트는 실로 넘치는데, 거의 모든 전쟁영화는 “남성동성애”를 “이성애”로 가장하는 가장 대표적인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얼마 전 개봉해서 많은 논란을 일으킨 영화, <300>은 이런 지점이 너무도 노골적이어서 가장masquerade을 하고 있다는 말이 무색할 지경이다.

영화는 시작부터 “게이”혐오를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스파르타의 왕이 페르시아에 조공하길 거부하며 하는 말은 “남색자”들의 아테네도 조공하길 거부했는데, 스파르타가 조공할 수 있겠느냐, 이다. 그러며 스파르타 “남성”들의 우월성, 이성reason을 엄청 강조한다. 하지만 왕의 모든 행동은 실제 여왕의 승인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페르시아 사신들을 죽이는 것도, 페르시아 군대를 막기 위해 출전하는 것도 여왕의 승인 하에 이루어진다. 이 지점은 이중적인데 한 편으론 “남성은 이성적이고 독립적이다”란 언설이 작동하는 방식을 드러내는 지점이며, 다른 한편으론 “왕 혹은 페르시아 남성은 이성애자다”(왕을 부르며 사용하는 영어와 스파르타 “남성”을 부르며 사용하는 영어는 모두 스파르탄Spartan이다)라는 항변이자, 연막을 치는 부분이다. 전자는, 모든 행동은 “여성”의 승인을 통해 이루어고 그리하여 사실상 “남성”이 “수동”적인 존재이지만 “남성들은 독립적이란 환상”을 통해 “전사”가 되는 과정을 드러낸다. 후자의 경우엔, 왕(혹은 스파르타 “남성”)은 “이성애자”란 식의 가장을 반복함으로서 “남성”들 간의 애정을 우정으로 치환하고자 한다(물론 애정과 우정의 경계가 명확한 건 아니지만).

실제 이 영화에선 세 쌍의 “게이”커플이 등장한다. 왕과 왕의 가장 절친한 친구로 나오는 장군, 장군의 아들과 그 아들의 파트너, 전쟁 결과를 알려주기 위해 마지못해 스파르타로 가는 군인과 왕. 이들의 노골적인 욕망은 전쟁이라는 위기상황과 “우리는 결혼을 했고 자식이 있으니 이성애자다”라는 가정을 통해 가리고자 할 뿐이다.

다른 한편, 이 영화의 “남성동성욕망”은 조금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른바 체육관게이와 ‘끼순이’ 사이의 애증관계랄까. 스파르타 군인 300명이, 우람한(징그러운?) 근육을 통해 게이의 “남성성”을 과시하고 있다면(근육질은 “이성애 남성”의 전유물인 것처럼 그린다는 점에서 리비에르의 지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페르시아의 크세르크세스는 끼순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해도, “게이는 여성스럽다”는 언설을 재현한다. (물론 이런 구조는 서구와 동양이라는 젠더배치를 따르는 측면도 있다.) 크세르크세스가 스파르타의 왕 레오니다스에게 최후의 경고로서 조공을 요구함에도 레오니다스가 거절할 때의 크세르크세스의 표정은 단순히 조공요구가 거절되었을 때의 그것이라기보다는 애정고백을 거절당했을 때의 표정에 가깝다. 레오니다스의 거절은, 단지 “스파르타의 명예”를 위한 것이 아니라 “내 취향은 네가 아니라 근육질의 체육관게이거든”으로도 읽힌다. 또한 레오니다스의 (조공/고백) 거절은 단순히 “여성스러운 게이”, 크세르크세스를 거절한 것은 아니다. 왕은 모든 결정을 왕비의 승인에 따른다는 점에서, (소위 “여성성”이라고 불리는) “수동성”을 행하는데, 조공/애정의 승인은 표면적으로나마 부정하고 있는 자신의 “여성성”을 인정하는 격이 되고, 바로 이 지점이 두려워 끝까지 싸우려는 것으로 다가온다. 즉 “남성성”을 과시하려는 욕망(이 욕망은 왕비에게 인정받으려는 것도 있지만, 크세르크세스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망이기도 하다)인 동시에 “여성성”을 이중부정하려는 욕망의 반영이다.

<300>이 “이성애자”[異性/理性, heterosexual/reason-phile/reason-philia]라는 가면을 통한 “동성”욕망을 공공연히 드러낸다면, <음란서생>은 읽기에 따라선 게일 러빈과 버틀러 논의의 표본으로 삼아도 좋을 정도이다.

_M#]

4 thoughts on “[300]을 가면/가장으로 읽기

  1. 재미있게 읽었사와요 ㅋ
    음란서생관련 쪽글도 읽고싶어욧!

    1. 고마워요! 헤헤.
      음란서생과 관련한 부분은, 다 쓰지도 못 했고, 쓰는 도중에 완전히 다른 식으로 해석할 지점들이 너무 많이 발생해서 관뒀어요. 흐흐. 언젠가 한 번 재밌게 분석하고 싶긴 해요. 헤헤 🙂

  2. 내가 이 영화를 보고 정신적인 오르가즘을 느끼는 것은-_-; 이래서[게이영화라서]라니까… 무엇보다 정확한 물증…
    참, 루인 초속 5센티미터, 봤어요? 별의 목소리 감독 것.. 그녀와 그녀의 고양이 감독 것.. 좋아요. 특히 개인적으로 여러 감정이 교차하는 곡이 BGM으로 깔려 좋아하고 있답니다^^

  3. 핑백: Run To 루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