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트랜스/퀴어 공포(혐오)가 덜하다고?

몇 해전 한 인터넷 클럽에서 읽은 글. 그 클럽의 주인은 “여성”들에 비해 “남성”들이 퀴어(나 트랜스) 공포가 더 심하고 “여성”들은 공포가 별로 없다는 글을 썼었다. 그 글에 한 “남성”이 자신은 그렇지 않다고 답글을 달자, 글쓴이는 참 드물다면서 놀라고 반가운 반응을 표했다. 당시 루인은 뭐라 할 수 없게 복잡했지만 그냥 있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빈약한 언어는 뭐라고 할 수 없게 한다.

페미니즘 혹은 여성학 관련 모임 혹은 수업을 매개로한 어떤 자리에서 들은 말. “여성”이 “호모포비아”가 덜한 건, “같은 약자, 타자로서의 감수성 때문이다”란 말을 했었다. 고개는 주억거렸지만 글쎄… 수긍하기 힘들었다.

루인의 편견이겠지만, 그러고 보면 공포에 따른 혐오범죄의 가해자 상당수는 “남성”인 것 ‘같다’. 혹은 그렇게 재현한다. 몇몇 영화를 떠올려도 그렇고 인터넷 등 신문 기사를 통해서도 그런 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유독 “남성”이 트랜스/이반queer 공포가 더하다는 의미일까?

어제, 여이연 강좌를 마치고 玄牝으로 돌아오는 지하철에서, 맞은편에 앉은 커플의 반응. “여성”젠더처럼 드랙한 사람을 “여성”으로, “남성”젠더처럼 드랙한 사람을 “남성”으로 가정한다면, 멸시의 눈빛은 “여성”에게 있었고 “남성”은 그렇지 않았다. 왜 문제인지 모르는 표정이었을까, 그냥 쿨하고 싶은 표정이었을까, 선망의 표정이었을까, 알 수 없지만 루인이 느낄 수 있을 만큼 드러나게 공포의 혐오를 표하진 않았다.

‘이성애’가족구조에서 자신의 젠더 정체성이나 성적 지향성을 주로 알고 있는 사람은 “엄마”이며 “아빠”에겐 가장 늦게 알린다는 말을 자주 접한다. 그렇다면 “엄마”-“여성”이 트랜스/퀴어들을 향한 혐오가 덜한 걸까. 이런 반응을 단순히 성별 혹은 양성체계로만 해석할 수 있을까? 몇 주 전 PD수첩에서 방영한 “나를 정정해달라 -트랜스젠더의 성결정권”을 보면, 호적정정을 신청하기 위한 자리에 “엄마”는 절대 동의하지 않아 나타나지도 않지만 “아빠”는 도장을 가지고 나온다. 이렇게 부모 중 누구에게 말할 수 있는가는 그 사람의 성별이 아니라 일종에 친밀도 혹은 더 자주 얘기를 나눈 관계와 좀 더 관련 있다고 여긴다. 지금의 사회에선 “여성”들이 양육에 더 많은 책임을 강요받는다는 점에서 자식들과 좀 더 많은 대화를 나누거나 관계를 엮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 뿐이다.

루인의 경험으론 이런 공포에 따른 혐오 반응은 성별/양성에 별 상관없다고 느낀다.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루인의 몸속에, 몸을 아래위로 훑으면서 공포/혐오의 눈빛으로 쳐다보는 사람은 이른바 “여성”젠더로 드랙한 이들이다. 이른바 아저씨들은 차라리 심드렁하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아예 관심이 없었긴 하지만 별로 그러진 않았다.

“여성”이 “남성”보다 공포와 혐오가 더 하다는 얘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를 뿐이다. 물리적인 폭력과 욕설로 표현하거나 눈빛과 표정으로 표현하는 등의 방식의 차이지 성별에 따라 더하고 덜하다는 식으로 구분할 순 없다. 페미니스트라고 혐오나 공포가 없는 것이 아니고(때로 더 심하고) 마초라고 더 심한 것이 아니다(미국 흑인공동체에서의 경우, 특히 힙합 음악을 듣고 있으면 혐오발화를 상당히 심하게 해서 흑인”남성”들은 혐오가 더 심하다고 느낄 수 있지만 그렇게 말하는 그들의 가장 절친한 친구 중에 퀴어나 트랜스가 있는 경우도 많다. 어떤 신부는 자신이 ‘동성애’자면서도 설교시간 금지 발화를 하기도 한다).

최근 일련의 경험들에, 예전에 그 클럽에서 읽은 글이 떠올랐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